재테크23 [10. 뭐라도 해보기] 드디어 애드센스 수익실현 성공!! ㅠㅠ 일단 뭐라도 해보기로 했다. 그게 '뭘 해야 되지'라는 고민보다는 훨씬 나았다. 드.디.어 구글 애드센스에서 정산을 받았다. 애드센스는 $100 이상부터 매달 정산을 해주는데, 내 수입을 확인해 보니 $104.56이 찍혀서 드디어 정산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처음 $100을 돌파하면 지급정보가 입력되지 않아서 지급이 보류되고 있다는 말이 뜨는데,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지급정보 (돈 받을 계좌)를 입력해주면 매달 21~25일 사이에 정산이 된다고 한다. 계좌 정보를 입력하고 기다리길 몇일... 계좌에 보란 듯이 127,977원이 찍혔다!! (무려 송금인 Google Asia Pacific!!) 애드센스 정산을 받기까지... 애드센스 정산을 받기까지 한 1년 반정도 걸릴 것 같다. 2020년.. 2023. 4. 30. [네이버 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쉽고 실전적인 주식 입문서" '장비빨'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무엇을 하던 '장비'는 매우 중요하다. 주식투자도 마찬가지다. 어떤 Tool을 쓰냐에 따라 양질의 정보에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각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어플, 사이트 등이 있고, Invest.com 같은 해외 사이트도 있지만,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게 '네이버 증권'이다. 네이버 증권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검색 엔진인 네이버가 만든 만큼, 한국인이 가장 알아먹기 쉽게, 직관적으로 잘 만들어 놓았다. 무엇보다 네이버 포털 첫 페이지에 있어서 접근성도 좋다. 그런데, 아무리 네이버가 쉽고 간단하게 만들어 놓았어도, (나 같은) 주식 초보들은 이마저도 어려워 할 수 있다. 나도 처음에 네이버 증권 페이지에 들어가.. 2023. 2. 5. [일을 지배하는 기술] "내 삶을 책임지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직장생활을 위해" 2020년, 2021년, 그리고 2022년. 코로나와 함께 '유동성 파티'가 시작되면서, 코로나로 인해 망가진 경제를 부양하기 위한 돈이 시장 곳곳에 넘쳐흘렀다. 주식은 사기만 하면 올랐고, 부동산은 지금 사지 않으면 일생일대의 기회를 놓칠 것만 같은 불안감과 조급함으로 가득했다. '유동성 파티'로 흘러넘치는 돈을 끌어 모아 자산 형성에 발을 내딛으려는 '영끌족'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본격, 자본소득의 시대가 열리고 근로소득의 가치를 중시하는 사람은 바보가 되는 시기였다. 그리고, 2022년 상반기 무렵이었던가, 물가가 폭등하기 시작했고 이를 잡기 위해 은행은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유동성 파티'는 무서운 속도로 올라가는 금리와 함께 막을 내렸다. 끌어모은 부채에 대한 이자가 무서운 속도로 올라갔고,.. 2023. 1. 21. `23.1월 1주차 부동산 뉴스: 부동산 1.3 대책 이번주 부동산 관련 뉴스는 부동산 1.3 대책이 가장 중요한 소식인 듯하다. 그동안 촘촘하게 짜여있던 부동산 관련 규제를 모두 풀어주겠다는 정부의 입장으로 보인다. 이미 규제 지역을 일부 해제하였지만, 서울 아파트값이 8주 연속 최대 하락 폭으로 하락하며, 침체 속도가 깊어지자 효과가 미미하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추가적으로 부동산 관련 규제를 해지하려는 듯하다. 부동산 1.3 대책 핵심은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을 규제 지역에서 해제한다는 점. 그리고 강남 3구와 용산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거래 절벽이 덜하고, 규제 해제시 다른 지역으로의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일단 보류한 것으로 보인다. 규제지역에서 해제된 지역은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가 없어지고, LTV 가 70%로.. 2023. 1. 8. [부동산 공부] 서울 아파트값 10년 만에 최대 하락, 바닥인가? 이제 시작인가?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2012년 5월 시세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대 낙폭으로 떨어졌다. 최근 아파트 값이 떨어지고 있다고들 하는데, 10년 만에 최대 낙폭으로 떨어졌음을 통계가 보여주고 있다. 2021년 말까지만 해도 절대 떨어지지 않고 고공행진할 것 같았던 집값이 금리 인상과 함께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 올해 초부터 시작된 서울 부동산 가격의 하락, 이제 바닥인걸까? 아니면 이제 하락의 시작인 걸까? 바닥이라면, 10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한 지금이 기회일 수도 있지만 이제 하락의 시작이라면, 길게는 10년 가까이 버텨야 하는 수도 있다. 시장을 누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겠냐만은, 각각의 의견을 정리해보았다. 누구의 말이 맞는지는 사후적으로나 알 수 있는 일이고, 아무도 알 수 없는 일이지만, 참.. 2022. 10. 23. [부동산 읽기] 부동산 입문서 추천 - 부읽남의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 수업(실전편)'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의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 수업(기초 편)'에 이은 실전 편이다. 얼마 전 기초편을 읽었는데, 바로 실전편도 이어서 읽었다. 기초편은 부동산과 투자를 대하는 기본적인 마인드셋을 알려주는 책이었다면, 실전편은 부동산 초보들이 고민할 법한 실제 사례 (같은 값이면 5년 된 신축이 좋을까, 20년 된 구축이 좋을까 등등)와 매매과정, 경매 과정 등 보다 실전과 관련된 면을 많이 다룬다. 물론 부동산 투자와 관련된 마인드셋은 계속해서 강조하지만 말이다. https://sheffield.tistory.com/185 [부동산 읽기] 부동산 입문서 추천 - 부읽남의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 수업(기초편)' 부동산 관련 유명 유튜브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일명 부읽남) 님의 부동산 관련 신.. 2022. 8. 15. [부동산 읽기] 부동산 입문서 추천 - 부읽남의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 수업(기초편)' 부동산 관련 유명 유튜브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일명 부읽남) 님의 부동산 관련 신간 도서이다. 부읽남 님의 채널은 부동산 관련 영상보다는 마인드 셋팅 관련 영상을 주로 봐왔다. 부동산 관련 영상을 봐야지 하다가도, 부동산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머리에 탑재되어 있지 않기도 했고, 수많은 영상을 다 보자니 시간도 없어서 결국엔 마인드 셋팅 영상만 봐왔던 것 같다. 그러던 차에 부읽남 님이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 수업' 책을 냈다. 부동산 관련 책을 여러 가지 보긴 했었지만, 나같이 잘 모르는 초심자들이 읽기에 정말 좋은 책이다. 쉽고 명료하다. 부동산 입문서로서 추천! (출처: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https://www.youtube.com/watch?v=GF5khzzl42c 자산 Oriented.. 2022. 8. 2. [부동산 공부] 분당, 일산, 산본 이제 1기 신도시 재건축의 시대! 향후 5년간은 1기 신도시 재건축의 시대다. 90년대 초반 (`91~`94년)대에 완공된 1기 신도시의 구축 아파트들이 재건축 연한 30년을 지 `22년부터 재건축을 바라보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1기 신도시이자 앞으로 재건축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분당, 일산, 산본을 주목하자. (출처: 유튜브 '모두의 부동산'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4wYK_8MoYqw (1) 분당: 강남에 가깝고 판교를 품다, 일자리 접근성 최고봉 예전부터 '천당 밑에 분당'이란 말이 있었다. 1기 신도시의 대표주자로서 분당이 처음 개발되었을 때, 서울 대비 깔끔하고 계획된 도시 경관에 일자리가 많은 강남 접근성 때문에 붙은 말이었다. 신도시 중에서 분당이 강남 접근성이 가장 좋은 것은 의심.. 2022. 6. 19. [투자노트] 투자 포트폴리오 처음 만들어보기 (2) | 자산별로 대표적인 ETF 정리 https://sheffield.tistory.com/174 [투자노트] 투자 포트폴리오 처음 만들어보기 (1) |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처음부터 따라해보자 투자를 할 때 투자 자체에 대한 이해만큼이나, 투자를 하는 자신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다고 한다. 시간을 얼마나 투자할 수 있는지, 어느 정도의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을지, 위험 대비 원하는 sheffield.tistory.com 지난 글을 통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법을 정리해보았다. 투자 포트폴리오라는 것을 처음 만들어 보는 사람도 쉽게 이해하고 따라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4개의 Step에 걸쳐서 정리하였다. [투자 포트폴리오 만들기의 4 단계] Step 1. 포트폴리오의 목표 설정하고, 본인의 투자성향 이해하기 Step 2. 자산.. 2022. 2. 28. 이전 1 2 3 다음